1. 사용자 및 권한 -> '사용자' 클릭 -> '생성' 버튼 클릭
2. 생성할 사용자의 이름과 암호를 입력한다. '기본 테이블스페이스' 항목에는 우측의 손전등 버튼을 클릭하여 바로 전에 생성한 테이블스페이스를 선택한다. '임시 테이블스페이스' 항목은 'temp' 를 선택한다. 기본 테이블스페이스 항목을 지정하면, 이 사용자가 로그인해서 여러 가지 객체(테이블, 뷰 등)를 생성시 디폴트로 여기에서 설정한 테이블스페이스에 저장된다. 만약 기본 테이블스페이스를 지정하지 않으면, 새로운 사용자로 생성하는 객체들은 system 테이블스페이스에 저장된다. 위에서 언급했지만 system 테이블스페이스에는 시스템 정보를 다룬 데이터 딕셔너리들만 저장되어야 한다. 임시 테이블스페이스는 sql 문장이 수행될 때, 정렬(sorting) 작업에 필요한 공간을 말하는데 미리 생성된 임시 테이블스페이스인 temp 를 선택한다.
하단의 '롤'탭을 선택한 뒤 '목록편집' 버튼을 클릭하여'dba' 권한을 준다. 굳이 dba 권한을 줄 필요는 업으나 임의의 명령을 실행하거나 작업을 할 때 적절한 권한이 없으면 그 때 마다 해당 작업을 할 수 있는 권한을 할당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작업을 모두 할 수 있는 dba 권한을 주는 것이다. (대부분의 프로젝트에서는 개발자들에게 dba 권한을 주지 않고, 개발에 필요한 권한만 주게 된다.)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시스템 권한 '탭에서는 sysdba 권한을 주도록 한다.
3. '확인' 클릭
4. 사용자 계정까지 설치 후 새로운 사용자로 로그인해 보자
5. sql *plus 나 isql *plus 를 실행한 뒤 새로운 사용자 이름과 암호, 접속 식별자(sql *plus 에서는 호스트 이름, isql *plus 에서는 접속 식별자로 표시된다.)를 입력한 다음 로그인 한다.
'IT > ORAC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역 데이터베이스 이름 vs SID (시스템 식별자) (0) | 2018.12.27 |
---|---|
테이블스페이스 생성 (0) | 2018.12.27 |
sql developer (0) | 2018.12.27 |
오라클 계정 풀기(연습을 위한 hr 계정) (0) | 2018.12.27 |
오라클 계정 관련 정보 (0) | 2018.12.27 |